Frontend

상태관리 유형 분류

*히아* 2024. 7. 15. 15:58

1. Flux 방식

Redux, Zustand가 이 유형에 속한다.

top-down 방식

옵저버 패턴

https://haruair.github.io/flux/docs/overview.html

Action이 발생하면, Dispatcher에서 이를 해석한 후 Store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고, 그 결과가 다시 View로 전달된다.

 

2. Proxy 방식

MobX가 이 유형에 속한다.
이 유형은 상태를 프록시 객체로 래핑

직접 객체를 다루지 않고, 프록시를 통해 작업을 수행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잘 맞다.
물론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함께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이들의 핵심 원칙과 기능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원칙과 더 잘 어울린다.

 

3. Atomic 방식

Recoil, Jotai가 이 유형에 속한다.
이 유형은 전체 상태를 원자 (Atom)으로 나누는 것을 추구한다.
원자는 업데이트 가능하고 구독 가능한 상태의 단위이며, 이들은 서로 다른 부분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때문에 상태 관리의 모듈화가 쉽고,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https://velog.io/@greencloud/%EC%9A%B0%EB%A6%AC-%ED%8C%80%EC%9D%B4-Zustand%EB%A5%BC-%EC%93%B0%EB%8A%94-%EC%9D%B4%EC%9C%A0

 

우리 팀이 Zustand를 쓰는 이유

다른 것도 좋은데.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