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와 달리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다!! js "use strict";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const sum = add(1, 2); console.log(sum); ts function add(a: number, b: number) { return a + b; } const sum: number = add(1, 2); console.log(sum); // 3 만약 sum에서 number가 아닌 string을 부여해준다면 TS2322라는 에러 코드가 뜬다! **TS2322는 변수 타입에 대한 오류! Tuple 튜플은 배열과 유사하지만 정해진 타입의 고정된 길이 배열을 표현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push()나 splice() 등 길이..
강의를 듣고 구현하다보면 왜인지 몰라도 컴포넌트를 많이 쪼개서 만들게 된다. 이런식으로.. 하지만! 컴포넌트를 너무 잘게 쪼개는 것보다 재사용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만 분리하는 것이 좋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props으로 넘겨야하는 값들이 많이 생기게되기 때문!! 현업에서는 props 나눌 필요가 있는 애들만 나눈다! props를 최소한으로 해주기 위해서!! 앞으로 컴포넌트 만들 때 유의하자!!
JS 코딩테스트 풀다가 sort 함수를 잘 모르겠어서 강의 보면서 정리해보았다 arr.sort() 배열 재정렬 배열 자체가 변경되니 주의하기! let arr = [27, 8, 5, 13]; //a와 b 두 요소를 전달받아 양수인지, 0인지, 음수인지 return //a와 b를 비교해서 a가 작으면 a를 앞으로 보낸다 arr.sort((a,b) => { return a -b; }) 내부 로직을 콘솔로 찍었을 때 확인해보자!! (console창) 처음에 8과 27을 비교 => 8이 더 작으니 앞으로 이동 => 8, 27, 5, 13 (console창) 5와 8을 비교 => 5가 더 작으니 앞으로 이동 => 5, 8, 27, 13 (console창) 13과 5를 비교 => 5가 더 작으니 변동 없음 => 5,..
❓ 구조 분해 할당이란 ❓ 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분해해서 그 값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표현식을 의미 let [x,y] = [1,2]; console.log(x); //1 console.log(y); //2 예시로 더 알아보자! let users = ['Mike', 'Tom', 'Jane']; let [user1, user2, user3] = users; //위 코드는 아래 세 코드와 동일!! //let user1 = users[0]; //let user2 = users[1]; //let user3 = users[2]; console.log(user1); //'Mike' console.log(user2); //'Tom' console.log(user3); //'Jane' s..